전체 글15 불안 장애, 공황 장애의 유병률 - 내가 그 질병에 걸릴 확률이라는 것일까? 이번 글에서는 유병률이라고 하는 수치에 대한 내용을 전달해 드리려고 합니다. 최근 사회적으로 증가하고 있는 불안 장애와 불안 장애의 한 종류인 공황 장애를 중심으로 유병률이라고 하는 것에 대해 조심히 생각해 봐야 하는 문제가 무엇인지 말씀드리도록 하겠습니다.샘플링으로 이루어지는 조사 결과, 실제와는 다를 수밖에 없는 현실저는 2019년부터 제 개인적으로는 심각한 불안과 공포, 나아가서는 공황을 느끼면서 힘들어했고 지금도 열심히 관리를 하고 있습니다(기회가 될 때 어떤 방법들이 크게 도움이 되었는지 소개해 드리겠습니다). 건강보험심사평가원에 따르면 2021년 정신건강실태 조사에서 공황 장애의 유병률은 0.4%로 조사되었다고 합니다. 당시 성인 인구수가 4,200만 수준이었다고 하니 16.8만 명 정도가 공.. 2025. 4. 18. 57명만 모여도 생일이 같은 사람이 있을 수 있다는 확률 이야기 이번 글에서는 우리의 인지 범위에서는 쉽게 예측할 수 없는 생일과 관련된 확률에 대한 이야기와 희소한 확률과 당연한 사건에 관한 내용을 말씀드리려고 합니다. 365일 중에 생일이 같은 사람이 있을 확률이 99%인 경우라면 그 모임의 인원수는 얼마나 되어야 할까? 그리고 아주 희소한 확률을 지녔지만 그것이 발생하지 않는다는 것은 아니다는 의미, 지금은 확률로만 존재하지만 머지않아 당연한 사실이 될 모습들에 대한 이야기를 전달해 드리겠습니다. 57명 정도만 있으면 그 중에 생일이 같은 사람이 나올 확률은 99%하나의 그룹 안에 생일이 같은 사람이 2명 이상이 있을 확률은 얼마나 된다고 생각하십니까? 결론적으로 57명의 사람이 모여 있을 때 그중 2명 이상의 생일이 같을 경우는 99% 정도의 확률이 됩니다... 2025. 4. 17. 도박사의 오류와 현혹의 기술(편향 4) 이번 글에서는 각 사건들이 독립적으로 일어나 이전 이후 사건에 영향을 주지 않음에도 우리의 인지 영역으로 인해 발생하게 되는 오류에 대해 말씀드리려고 합니다. 우리는 상황이 주는 경향성으로 인해 혹은 무엇인가의 현혹으로 인해 진실을 받아들이기보다 편향적으로 생각하게 되는 일을 마주하고는 합니다. 다음의 예시들을 통해 이를 살펴보겠습니다.러시안룰렛과 도박사의 오류 - 독립 사건과의 연관성영화나 드라마를 보다 보면 러시안룰렛을 이용하는 장면을 심심치 않게 볼 수 있습니다. 만일 총알이 8개가 들어가는 권총을 이용해 러시안룰렛을 한다면 처음 총알에 맞을 확률은 1/8일 것입니다. 계속 진행한다면 1/7, 1/6과 같은 방식으로 확률이 점차 증가하게 됩니다.이는 이전에 일어났던 사건이 이후 일어나는 사건에 영향.. 2025. 4. 14. 제2차 세계대전의 귀환한 항공기 보강 이야기(편향 3) 이번 글에서는 또 다른 편향의 한 종류인 통계의 오류에 대해서 말씀드리려고 합니다. 우리의 눈에 보이는 것만 가지고 상황을 판단하게 되면 심각한 오류에 빠질 수도 있다는 것을 제2차 세계대전에서 있었던 일을 통해서 알아보겠습니다. 제2차 세계대전시 귀환한 항공기를 조사하여 기체를 보강, 중요한 요소가 빠진 편향 이야기 제2차 세계대전에서 연합군 장군들은 전투 중에 복귀한 항공기들의 생존성을 높이기 위해 기체의 어떤 부분을 보강해야 할지 논의하였다고 합니다. 연합군 장군들은 항공기 기체에 생긴 탄환의 흔적을 보고 그곳이 공격을 받기 쉬운 부위, 탄환이 뚫릴 만큼 약한 부위라고 판단하고 기체 보강 작업을 시작했습니다. 그러한 와중에 컬럼비아의 통계학자 '아브라함 발트'가 이러한 현상에 대해서 '생존자 편향.. 2025. 4. 13. 평균에 익숙한 우리들 - 혹시나 놓치고 있을지 모르는 진실(편향 2) 이번 글에서는 우리 주변에서 쉽게 볼 수 있는 편향의 한 종류인 '평균의 함정'에 대해서 말씀드리려고 합니다. '평균'은 생활 속에서 너무나 익숙하게 사용하고 있는 값인데, 그 값을 얼마나 신뢰할 수 있을지에 대해서는 통계학에서 이미 많은 논의가 있었습니다. '평균' 보다는 '중간값'이라는 개념을 잘 사용하는 것이 더 유익할 수 있다는 것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대부분이 5점 이하인데, 반 평균은 20점 이상? 예를 들어 어떠한 학급에 5명의 학생이 있다고 하고 학급의 수학 점수 평균이 22점이었다고 가정해 봅시다. 평균이 22점이기 때문에 5명이 22점을 중심으로 점수를 받았다든지, 0점~40점 사이에서 점수들이 분포되어 있다고 생각하게 됩니다. 그런데, 실제로 학생들의 점수를 살펴보니 5명이 각각 1점.. 2025. 4. 12. 자녀의 간헐성 외사시 진단 - 상급 병원 진료까지 받은 이야기(편향 1) 우리는 무수히 많은 정보 속에서 내가 원하는 정보를 쏙쏙 골라낼 수 있는 편리한 시대에 살고 있습니다. 하지만 그러한 정보가 오히려 내가 보고 싶은 것만 찾아보게 하는 것은 아닐까하는 의문이 발생하고는 합니다. 이번 글에서는 제 자녀의 간헐성 외사시 진단 과정에서 내가 얼마나 편향되게 생각하게 되는지를 알게 된 편향의 오류에 대해 말씀드리려고 합니다.동네 병원에서 진단받은 아이의 '간헐성 외사시'저는 이제 5살이 된 딸아이를 키우고 있습니다. 오늘은 저희 딸의 '간헐성 외사시' 진단을 받기까지의 이야기를 말씀드리려고 합니다.일상생활 중에 딸아이가 윙크를 하듯이 한쪽 눈을 찡긋하는 경우는 자주 있었습니다. 윙크를 하는 것인 줄 알고 마냥 귀엽게만 보였습니다. 그런데 어느 날인가 자세히 살펴보니 윙크를 한 .. 2025. 4. 11. 이전 1 2 3 다음